독립신문보다 생생하고 혈의 누보다 파란만장한 진짜 근현대사라는 부제로 시작하는 대한 유사라는 책 속에는 지루한 역사의 흐름이 아닌 일반적으로 잘 알지 못하는 근현대사에 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너무나 알려진 분들의 에피소드도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 속의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면서 정말 재미있었고 이제야 알게 된 나만의 이야기들을 가지게 되니 이 책을 다 읽고나서는 굉장히 내 역사 지식이 많이 넓어졌다는 뿌듯함이 생기더군요 역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꼭 추천해드리고 싶고 이 책은 여러 번 읽으면 더욱 좋을 것 같네요 설민석 선생님이 이야기해주는 역사 강의와 견줄 만큼 참 재미있었습니다[책 속 구절]이승만에 대한 아쉬움은 바로 여기에 있다 생애 대부분을 개화와 독립운동에 바친 만큼 말년에 이르러서도 그 강한 투쟁력으로 민족정기를 바로 새우는데 애썼다면 이승만은 민족의 영웅으로 남았을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승만은 권력 투쟁과 대통령 연임이라는 집권 욕망에 빠져 허우적거렸다 p 326
청소년들의 시각에 맞춰 역사와 함께 그 시대의 문화와 풍속을 함께 전달해주는 책이다. 영역을 넘나드는 융합형 교과 교육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문화, 풍속, 역사를 함께 아우르는 통찰력이 담긴 전작들은 많은 청소년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, 조선유사 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. 대한유사 의 출간으로 완성된 이 시리즈를 통해 청소년들은 고려, 조선, 근현대로 이어지는 한국사를 아우르는 역사의식과 자신만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통찰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.
머리말
제1장 구한말
- 연줄 값으로 연줄을 만든 김병국
[문화 이야기] 연날리기 풍속의 유래와 의미
- 이용익, 금덩어리를 캐서 나라에 바치다
[문화 이야기] 노다지의 어원
- 일본이 1876년 강화도에서 군함으로 시비 건 이유
[문화 이야기] 조일 수호 조규의 의미
- 요지경과 성냥 그리고 개화파
[문화 이야기] 성냥의 어원과 유래
- 신사유람단과 태극기 탄생 배경
[문화 이야기] 태극기의 유래와 의미
- 임오군란과 양복 그리고 친일파의 유래
[문화 이야기] 신작로의 어원
- 무녀 이씨가 진령군에 봉해진 사연
[문화 이야기]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점을 쳤을까
- 최초의 영어 통역사 윤치호
[문화 이야기]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자전거를 탄 사람
- 한국 최초의 근대 신문 「한성순보」
[문화 이야기] ‘간에 기별도 안 가다.’의 어원
- 김옥균의 계책과 드라마 같은 갑신정변
[문화 이야기] 갑신정변은 왜 삼일천하로 끝났을까
- 알렌, 서양 의술로 조선 왕실의 마음을 사로잡다
[문화 이야기] 유성기와 우리나라 최초의 디제이
- 자객과의 두뇌 싸움
[문화 이야기] 우리나라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
- 조선 최초의 해외 비자금 밀반출 사건
[문화 이야기] 왜 고려인삼이 유명할까
- 조선 후기 농민들이 동학에 적극 동참한 이유
[문화 이야기] 전봉준이 ‘녹두장군’으로 불린 까닭
- 손병희의 배짱과 기지
[문화 이야기] 최초로 자동차를 탄 민간인
- 여우 사냥
[문화 이야기] 민비와 명성 황후의 호칭 문제
- 차라리 내 목을 자르시오
[문화 이야기] 구한말에 집집마다 초상 사진을 걸어 놓은 연유
- 러시아의 치밀한 음모, 아관파천
[문화 이야기] 신부용 가마에 호랑이 가죽을 씌운 까닭
제2장 대한제국
- 고종은 왜 나라 이름을 ‘대한제국’으로 바꿨을까
[문화 이야기] 옥새의 유래
- 고종 커피 독살 미수 사건
[문화 이야기]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커피를 마신 사람
- 치하포 사건과 고종의 전화 한 통
[문화 이야기] ‘전화 걸다’라는 말의 어원
- 매국노 송병준과 이용구의 정략적 만남
[문화 이야기] 구한말 일진회와 학생 폭력 조직 일진회
- ‘을사조약’이 아니라 ‘을사늑약’인 까닭
[문화 이야기] ‘을사늑약’과 관계없는 ‘을씨년스럽다’의 유래
-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일주와 피를 먹고 자란 대나무
[문화 이야기] 처음으로 명함을 사용한 우리나라 사람
- 금연 아이디어로 시작된 국채 보상 운동
[문화 이야기] 대중목욕탕과 ‘목간하다’의 유래
- 돌아오지 못한 헤이그 밀사
[문화 이야기] 내탕금 유래와 용도
- 일제의 고종 하야 음모와 군대 해산
[문화 이야기] ‘해산하다’와 ‘미역국 먹다’의 어원
- 안중근은 왜 위대한가
[문화 이야기] 혈맹 혹은 혈서의 유래
제3장 일제 강점기
- 경술국치일 막전막후 이야기
[문화 이야기] 신소설의 선구자에 대하여
- 고종 해외 망명 시도와 독살
[문화 이야기] ‘기미 보다’의 뜻
-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과 의친왕 망명 사건
[문화 이야기] 망명 정부와 임시 정부는 어떻게 다를까
- 조선 최고 요릿집 명월관
[문화 이야기] 우리나라 최초의 요정
- 한국 최초의 여배우, 복혜숙
[문화 이야기] 한국 최초의 미장원
- 성격파 배우의 원조, 나운규
[문화 이야기] 인력거의 유래와 초창기 풍경
- 대중가요 ‘사의 찬미’를 발표한 윤심덕
[문화 이야기] 연애라는 말을 처음 쓴 사람
-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가 대단한 까닭
[문화 이야기] 비슷한 듯 다른 도시락과 벤또
- 창가와 애국가 유행
[문화 이야기] 안익태의 애국가 작곡 이야기
제4장 해방 이후
- 아, 광복군 특공대
[문화 이야기] 광복군 창설 과정
- 해방인가, 광복인가
[문화 이야기] 악극의 유래
- 누가 임시 정부의 귀국을 막았나
[문화 이야기] 기생 파티와 모윤숙
- 여운형 암살 사건
[문화 이야기] ‘TK’의 원조 장택상
- 원맨쇼 개척자이자 국내 최초 개그맨, 윤부길
[문화 이야기] 대중가요 ‘처녀 뱃사공’의 유래
- 서윤복, 보스턴 마라톤 대회 우승
[문화 이야기] 또 다른 마라톤 영웅 남승룡
- 미군정이 민족 반역자 처벌을 반대한 까닭
[문화 이야기] 흐지부지와 유야무야의 어원
- 제헌 국회와 대통령 중심제 탄생 비화
[문화 이야기] ‘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.’는 말의 유래
- 스탈린은 왜 김일성을 택했을까
[문화 이야기] ‘낙점’ 혹은 ‘점찍다’의 어원
- 아, 대한민국!
카테고리 없음